윈도우 10 자녀 보호 기능, 컴퓨터 사용 시간 제한하기 위해 가족 계정 설정하기(1)
윈도우 10은
자녀들의 컴퓨터 사용시간을 조절하거나
특정 사이트는 방문하지 못하게 하거나
프로그램을 함부로 설치하지 못하게 하고 또는 설치된 프로그램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할 수 있습니다
pc로부터 자녀를 떨어뜨려 놀 수 없는 부모님이라면 도움이 되실 것 같습니다.
그 전에 먼저 2가지를 해주셔야 하는데요
1. 윈도우를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주세요
2. 부모님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만약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없으시다면
미리 가입해 놓으시면 좋습니다.
가입하실 수 있게 링크를 만들어 놓았습니다
가능하면 자주 사용하시는 이메일 계정으로 만드시면 좋습니다. 저는 지메일 아이디로 가입했는데요
그러면 아이들의 정보가 저의 지메일 계정으로 오게 됩니다. 네이버아이디로 가입하면 네이버로 오겠죠?
(예: 아이디@naver.com 이렇게 가입하면 아이들의 정보가 네이버 메일로 도착합니다.)
---------------------------------------------------------------------------------------------
현재 자녀가 쓰는 컴퓨터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되는 것이 아니라면
(아마 대부분이 로컬 계정으로..그니까 특별히 이메일을 등록하지 않고 윈도우를 사용중일 것입니다.)
일단 자녀들이 함부로 다른 설정을 건들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자녀의 컴퓨터를 부모님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하도록 설정하셔서 노트북의 주인 권한을 가져와야 합니다.
1,2번 사진은
부모님께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만드셨다면
자녀의 컴퓨터를 부모님 계정으로 로그인하도록 만드는 방법입니다.
1. 설정에서 계정을 누르세요
2. 대신 Microsoft 계정으로 로그인 합니다 를 누르셔서 아까 만드신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로그인 하시면 이제 자녀의 컴퓨터는 부모님의 마이크로소프트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해야만 접속이 가능해 집니다.
이렇게 하시면 기존에 자녀가 사용하던 로컬계정은 부모님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바뀌기 때문에
컴퓨터를 켰을 때 윈도우로 가고싶다면 부모님의 계정의 비밀번호를 입력하라고 물어보게 됩니다.
***참고***
그런데 혹시나 자녀가 똑똑해서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만들어 컴퓨터에 등록하고 사용중이라면
부모님계정을 등록하시고 기존의 자녀 계정을 "구성원"계정으로 바꿔야 하는데 그건좀 복잡하니까
기존의 자녀 계정은 삭제해버리는게 속이 편합니다 ㅋㅋ
이제 자녀 계정을 만드는 법을 설명하겠습니다.
(혹시 자녀의 컴퓨터의 주인 권한을 가져오기 위해 부모님 계정을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의 링크를 눌러주세요. 여기다가 쓸라니 너무 길어서 다른 곳으로 옮겨 놨습니다 ^^)
자녀 컴퓨터를 부모 계정으로 등록하기 게시글을 확인해 주세요!
3. 부모님 계정으로 로그인하여 윈도우로 부팅하신 뒤, https://account.microsoft.com/family 접속해주세요
그리고 가족 그룹 만들기를 눌러주세요
https://account.microsoft.com/family/about
4. 그러면 추가 창이 뜨는데 자녀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만들어줘야 하기 때문에 구성원에 체크하신 뒤
자녀 계정 만들기를 클릭합니다.
5. 계정을 만들기 위해 새 전자 메일 주소 받기를 눌러주세요.
6. 적당한 아이디를 입력 후 다음을 눌러주세요
저는 아이가 없지만 05년 08월 18일 생의 아들이 있다고치고
아이디를 저렇게 만들어보겠습니다 ㅎㅎ
7. 잊지 않을만한 암호로 만들어서 입력하고 동의하고 계정만들기를 눌러주세요
영문 대문자와 소문자 숫자를 포함하여 8자 이상 만들면 됩니다.
8. 자녀 이름을 입력합니다. 위가 성이고 아래가 이름 칸 입니다.
9. 아이의 생일을 입력해 주세요. 미성년자인 경우에 이 기능이 효과적인 것 같습니다.
(당연히 미성년자니까 이 기능을 사용하시겠죠?^^;;;)
10. 부모님의 핸드폰 번호를 입력하시고 코드 전송을 누르시면 문자가 하나 올 것입니다.
그 안에 숫자 4자리가 포함되어 있는데
11. 문자로온 숫자 4자리를 입력하시고 다음을 눌러주세요
12. 그러면 자동으로 이 화면으로 돌아옵니다.
가족 구성원 칸에 보시면 자녀 한사람이 등록된 것을 보실 수 있을 것입니다.
여기까지 오셨다면 어느정도 잘 되신 것입니다. 그 다음에 윈도우에서도 설정이 필요합니다.
(이끌이 라고 되어 있는것은 부모님 계정입니다. 마스터 계정이죠)
13. 다시 설정을 실행하시고
계정을 누릅니다.
14. 가족 및 다른 사용자를 누른다음에
아까 가입한 자녀계정을 누르고 허용버튼을 눌러야 합니다.
지금 사진 보시면 '로그인할 수 없음' 이라고 되어있는데 허용 버튼을 누르면 '로그인할 수 있음'으로 바뀌게 됩니다.
15. 허용버튼을 누르면 위와 같은 창이 나옵니다.
역시 허용 버튼을 눌러주세요.
16. 로그인 할 수 있음으로 바뀐 것을 보고 계십니다. 자 여기까지면 이제 설정은 거의 다 끝났습니다.
이제 자녀 계정이 만들어졌습니다.
아까 부모님 계정도 이 컴퓨터에 등록했기 때문에 컴퓨터를 켜게되면 부모님계정과 자녀계정중에
어떤 것으로 로그인 할지 물어보게 됩니다. 테스트 해볼까요?
17. 시작버튼을 누른뒤 사람 아이콘을 누르면 위와 같이 로그아웃 버튼이 나옵니다. 부모님계정을 로그아웃 하는 것입니다.
18. 컴퓨터를 부팅하면 이렇게 보인다는 것이죠
위의 것이 부모님 계정이고
아래가 자녀계정이죠. 자녀 계정을 눌러 로그인 하도록 하시죠.
19. 자녀계정으로 로그인 중입니다
20. 자녀 계정의 암호를 입력하고 로그인을 눌러주세요.
21. 자~ 중요한 부분이 나왔습니다.
자녀 계정으로 암호를 입력하고 로그인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이 PIN은 윈도우로 들어가기 위한 암호같은 것입니다.
자녀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저의 경우 son050818@outlook.kr)의 암호를 알려주는대신 이 PIN 번호를 알려주면 컴퓨터에 자녀가 이 PIN만 입력하고 윈도우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
대신 자녀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실제 암호는 알려주면 안됩니다. 만약 자녀가 마이크로소프트 계정 아이디와 암호를 모두 알게 되면 개인 정보에 로그인해서 자녀 기능을 꺼버릴 수도 있기 때문에 이 PIN만 알려주면 되겠습니다 ㅎㅎ
22. 적당히 숫자 4개 정도만 정해서 입력하고 확인을 눌러주세요
이 PIN을 자녀에게 알려주면 스스로 컴퓨터를 켜서 자신의 계정으로 들어가
윈도우를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자 그 전에 아직 부모님께서 할 일이 남았습니다 계속 따라와 주세요
23. PIN을 설정하고 나면 '안녕하세요'라고 까만화면에 인사를 하더니
위와 같은 화면이 여러번 나오게 됩니다.
'---- 사용 안 함' 이부분을 클릭한 뒤 수락을 눌러주세요
24. 전부다 아니요 선택하시고 수락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자 여기까지 하셨다면
윈도우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기존에 사용하던 화면이랑은 많이 다르실 것입니다. 마치 윈도우를 새로 설치한 것처럼 보이실 겁니다.
이 윈도우에 자녀가 필수적으로 사용해야 할 프로그램들을 직접 다 셋팅 해주셔야 합니다
안그러면 자녀가 뭔가를 설치할려고 할 때 부모님의 허락을 받으라는 메세지가 나오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 작업을 하실 때는 자녀가 설치해서 사용해야하는(인터넷 사이트 말고) 프로그램이 있다면
설치를 직접해주셔야 합니다.
만약 설치를 한다고 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25. v3를 설치하려고 했더니 부모님 계정의 암호 또는 PIN을 물어보네요.
부모님 계정으로 윈도우 로그인 할 때 PIN을 설정하셨다면 위와같이 PIN을 물어보게되구요. 만약 그냥 암호를 입력해서 로그인하셨다면 암호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이렇게 허락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자녀들이 사용하는 설치가 필요한 프로그램은 설치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나중에 자녀가 비밀번호 뭐냐 물어보고 귀찮아 질수도 있습니다 ㅎㅎ
이제 가족 계정 관리 사이트로 가서
자녀의 정보가 부모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으로 보내지도록 잘 설정되어 있는지 살펴볼까요?
https://account.microsoft.com/family/about
여기로 접속해 주세요
26. 자녀 계정으로 로그인해서 부모 계정으로 정보를 넘겨주도록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할 것입니다.
지금 로그인을 눌러주세요. 그리고 자녀 계정으로 로그인 해주세요.
27. 자녀 계정으로 로그인하면 위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권한 관리를 눌러주세요.
28. 위와 같이 3가지 항목이 모두 켜져 있는지 확인해주시고 꺼져있다면 켜기 상태로 만들어주세요
이렇게 자녀들이 자신의 계정 아이디와 암호까지 알게 되면 여기로 접속해 저 설정들을 꺼버릴 수 있기 때문에 암호는 알려주시면 안됩니다. 그래서 아까 윈도우 시작할 때 PIN을 설정해줘야 하는 이유이지요. PIN만 있으면 윈도우로 들어갈 수 있으니까요
여기까지가 설정하는 방법이었습니다.
다음 게시물에서 자녀의 컴퓨터 사용시간과, 프로그램, 어떤 사이트에 접속하거나 못하게 할지 설정하는 방법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